탐험노트

1. 부산에서 들은 까마귀 소리

부산에서는 당연히 갈매기 소리를 녹음할 수 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뜬금없게도 갈매기는 바다 위 부표에서 조용히 쉬고 있었고, 어딜가나 까마귀를 보고, 까마귀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ㅎㅎ 녹음하고 RAVEN 프로그램을 통해 보니 스펙트로그램에서 약 0.7993초간격으로 까마귀가 운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까마귀가 한 번 울때 걸리는 시간(듀레이션)은 약 0.25~0.3초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참고로 스펙트로그램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까마귀 소리 이다.)

 

2. 어치(산까치)

지난 오프라인 탐험 활동때 부광고 근처 마을길에서 녹음한 어치 소리이다. 첫 번째 스펙트로그램을 보면 어치 소리의 높낮이를 알 수 있는데, 보통은 6000Hz의 소리를 내지만, 높을 때는 10000~15000Hz까지도 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세 번 연속으로 소리낸 부분 확인) 아래의 흑백 스펙트로그램을 보면 어치가 소리를 낸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검은색 막대가 위아래로 길게 뻗어 있는 부분이 소리를 낸 지점인데, 소리 사이의 간격은 불규칙하여 듀레이션만 확인해보니 0.35~0.45초였다. 

 

물론 내가 파악한 듀레이션과, 진동수가 사람이 설정한 구간에서 파악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래도 소리를 시각화하여 거기서 새 소리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또한 새들의 소리에 따라, 그리고 무엇을 분석하고 싶은지에 따라 선택해야하는 스펙트로그램의 색, 디자인이 다르다는 것도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

 

/resources/contentsMember/2021/08/9f071583af117bf2a11fc367d8252c92.xlsx

이것은 2가지 새소리 녹음에 대해 작성해본 로그인데, 녹음한 뒤 시간이 지나서 로그를 작성하려니 정확히 그 장소에, 녹음한 시간대의 날씨를 찾을 수 없어 적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이번 일을 계기로 로그는 정말 그때그때마다 바로 찾아서 작성해야겠다고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로그에 '소리의 의미'라는 항목이 있는데, 아직 새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아 그 부분은 쉽게 결론을 내려 작성하지 못했다. 앞으로 여러 가지 새 소리에 귀 기울이고, 새를 관찰하면서 그 새가 낸 소리가 어떤 것인지 소리의 의미를 유추라도 할 수 있게 될 정도로 열심히 새 소리에 귀 기울여야겠다.

 

탐험 스쿨 첫 온라인 활동 기록 : /resources/contentsMember/2021/08/c7bf11c81dd6f282f210643fafaa220d.hwp

탐험 스쿨 첫 오프라인 활동 기록 : /resources/contentsMember/2021/08/081d45c51bf6bc2051ce4874d6ea7844.hwp

 

댓글 1
  •  
    최한이 탐험가 2021.09.30

    새소리 녹음뿐만 아니라 새소리의 기본적인 특성 분석(듀레이션, 헤르츠)을 해주셨네요! 

    듀레이션과 헤르츠 분석은 새소리 기본 분석 중 하나입니다. 사람이 구간을 설정해서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어요.

    그래서 연구자들은 보통 한 곳에서 한 개체의 소리를 여러번 녹음한 다음에 (적어도 10번은 해야해요) 녹음된 모든 소리의 길이와 높낮이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내서 오차범위와 함께 "이 새의 소리는 평균 ~~sec(초) 이고, ~~Hz를 사용한다." 라고 말한답니다. 

    로그작성이 연구를 위한 새소리 녹음에 정말 필수적인 이유를 이번에 느끼신거 같은데, 새소리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녹음을 정말 많이해야해요. 그래서 나중에는 파일들이 섞여서 이게 어디서 어떻게 녹음된건지 알수가 없고,  나의 기억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이유에서라도 로그는 필수적으로 현장에서 작성을해야해요. 

    앞으로도 내가 녹음한 파일을 그냥 재미를 위해 녹음하고 들어보는 행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분석이나 연구를 통해 다른 가치있는 일에 사용하고 싶다면, 꼭 필수 정보들을 함께 메모하거나, 로그를 작성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것을 추천해요. 

    0
  • 폴리매스 문제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재원으로 운영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문의 02-6749-3911